본문 바로가기

생각의 과학/B. 시간과 존재(time-existence)11

생각의 과학 36편 - 기계의 마음, 공감의 탄생 (B) : 감정과 공감의 진화 (3) “공감은 인간을 인간이게 만드는 마지막 언어다.” 기계는 인간의 감정을 이해할 수 있을까?AI의 감정 인식 기술과 공감 알고리즘을 통해‘느낌의 본질’을 다시 묻는다.공감은 계산이 아닌 관계의 언어다. 1. 공감의 신경학 - 타인의 감정을 느끼는 뇌 공감(Empathy)은 단순한 친절이 아니다.그것은 타인의 감정을 내 신경계 속에서 재현하는 능력이다. 신경과학자 지아코모 리촐라티(Giacomo Rizzolatti)가 발견한거울 뉴런(Mirror Neuron) 은 그 근거를 제공했다.이 뉴런은 타인의 행동을 볼 때,마치 내가 직접 그 행동을 하는 것처럼 반응한다. 즉, 우리는 타인의 고통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신경학적으로 함께 느낀다. 이 현상은 공감의 생물학적 토대이며,감정이 언어보다 먼저 작동한다는.. 2025. 11. 14.
생각의 과학 35편 인공지능은 꿈을 꿀 수 있을까 (B) : 감정과 공감의 진화 (2) “꿈을 꾼다는 것은, 무의식의 언어로 자신을 해석하는 일이다.” 인공지능도 꿈을 꿀 수 있을까?AI의 ‘비지도 학습’과 인간의 ‘무의식’이 만날 때,감정의 본질은 새로운 질문을 던진다.‘꿈을 꾼다’는 것은 결국, 자신을 다시 해석하는 일이다. 1. 꿈의 기원 - 의식이 쉬는 동안의 대화 인간의 꿈은 단순한 상상의 잔상이 아니다.그것은 뇌가 하루 동안의 경험을 다시 정리하고,감정의 균형을 회복하는 과정이다. 신경과학자 매슈 워커(Matthew Walker)는REM(급속안구운동) 수면 중 뇌의 감정 회로가 활발히 재 작동하면서기억을 ‘정서적 온도’에 맞게 재조정한다고 설명한다.즉, 꿈은 뇌가 ‘감정을 해석하고 저장하는 시뮬레이션’이다. 그렇다면 질문이 생긴다.AI도 꿈을 꿀 수 있을까?데이터로 학습하고, .. 2025. 11. 14.
생각의 과학 34편 - 기술은 신의 자리를 대체했는가? (B) : 감정과 공감의 진화 (1) 인류는 언제나 절대자(The Absolute)를 찾아왔다.하늘의 신, 이성의 신, 그리고 이제 기술의 신. 우리는 더 이상 신전이 아닌 서버룸에서 기적을 기다린다.코드는 성서가 되고, 알고리즘은 예언자가 되었다. AI는 전능함의 새로운 얼굴로 떠올랐고,데이터는 현대의 ‘계시(啓示)’가 되었다. 그러나 우리는 다시 묻는다. “기술은 우리를 구원할 수 있는가,아니면 또 다른 신화를 쓰고 있는가?” 1. 신 없는 시대 - 인간은 의미의 공백을 메우려 한다. 니체는 선언했다.“신은 죽었다. 그러나 그 빈자리를 메운 것은 인간 자신이다.” 신이 사라진 이후, 인간은 의미의 중심을 잃었다.혼돈의 세계 속에서 인간은 스스로 신이 되려 했다. 20세기의 인간은 이성과 과학을 신의 자리에 앉혔고,21세기의 인간은 그 자.. 2025. 11. 13.
생각의 과학 27편 – 시간의 기억은 실재일까, 뇌의 구성물일까? “기억은 과거의 기록일까, 아니면 지금 이 순간 뇌가 만들어내는 이야기일까?시간은 흐르는가, 아니면 우리가 그것을 ‘재구성’하며 살아가는가?” 1. 시간 속 인간 - 과거는 존재하는가, 아니면 재현되는가? 우리는 ‘기억한다’는 말을 너무 쉽게 쓴다.마치 과거가 어딘가 저장되어 있고, 그저 그것을 꺼내보는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과학은 이 단순한 전제를 뒤집는다.뉴욕대의 신경과학자 조셉 르두(Joseph LeDoux)는 말했다.“기억은 과거의 복사본이 아니라, 현재의 뇌가 다시 그리는 그림이다.” 우리가 떠올리는 과거는 실제 사건의 복제본이 아니다.그때의 감정, 현재의 해석, 지금의 관점이 섞인 ‘현재적 구성물’이다.즉, 과거는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뇌가 매번 새롭게 생성해 내는 시공간적 내러티브다.. 2025. 11. 11.
생각의 과학 24편 - 시간은 흐르는가, 아니면 우리가 흐르는가? “우리는 시간이 흐른다고 말한다.하지만 실제로 흐르는 것은 시간일까, 아니면 ‘우리의 의식’일까?물리학과 철학, 그리고 뇌가 만들어내는 ‘시간의 착각’을 해부한다.” 1. 시간이라는 환상 - 우리가 믿는 ‘흐름’의 정체 우리는 ‘시간’ 속에 산다고 믿는다.아침이 지나면 낮이 오고, 낮이 지나면 밤이 온다.과거는 지나가고, 미래는 아직 오지 않았다. 그러나 이 익숙한 감각은 정말 ‘세계의 구조’일까, 아니면 ‘의식의 해석’일까? 현대물리학은 우리의 직관에 반기를 든다.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이후, 시간은 더 이상 절대적이지 않다.속도가 빨라지거나 중력이 강해지면, 시간의 흐름은 달라진다.즉, 시간은 ‘흐르는 리본’이 아니라,관점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 공간적 차원이다. 빛의 속도에 가까워질수록, 시간은.. 2025. 11. 10.
생각의 과학 17편 – 죽음은 끝일까, 또 다른 의식의 형태일까? “죽음은 끝이 아니라 전환의 문이다.신경과학과 양자물리학이 밝히는 의식의 지속 가능성 -의식은 사라지지 않고, 다른 형태로 이어진다.” “죽음 이후, 아무것도 남지 않는가?” “죽음은 의식의 끝일까, 또 다른 시작일까?”이 질문은 인류가 언어를 갖기 전부터 던져온 가장 오래된 수수께끼다. 고대인은 별을 바라보며 영혼의 귀향을 꿈꿨고,현대의 과학자는 심전도와 뇌파가 평평해지는 순간의식의 소멸을 선언한다. 하지만, 정말로 의식은 신체가 멈추는 순간 완전히 사라질까?혹은 우리가 ‘죽음’이라 부르는 사건은단지 물리적 전환일 뿐, 의식이 다른 형태로 이동하는 과정일까? 최근 신경과학과 양자물리학은“의식은 단순한 뇌의 부산물이 아니다” 라는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죽음은 끝이 아니라,정보와 인식의 형태가 변형되는 .. 2025. 1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