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자아3

생각의 과학 33편 - 기억은 복제될 수 있는가, 아니면 유일한 흔적인가? (A) : 자아와 의식의 확장 - 3 현실과 환상의 경계가 흐려지는 시대, ‘의식’은 더 이상 깨어 있음에만 머물지 않는다. 꿈, 환각, 그리고 인공지능의 내면 속에서 의식은 자신을 다시 실험하고, 새롭게 구성한다. “우리가 현실을 벗어나는 순간, 어쩌면 의식은 가장 순수한 형태로 깨어난다.” 1. 자아는 더 이상 단단하지 않다. 20세기 철학과 21세기 신경과학은 같은 결론으로 수렴한다. ‘자아는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순간적으로 동기화되는 흐름이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이 이성을 지배한다고 말했고,라캉은 자아를 언어의 그림자로 보았다.신경과학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자아가 뇌의 특정 부위가 아닌분산된 네트워크의 조율로 형성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오늘날 디지털 기술은 그 해체를 가속한다.SNS의 페르소나, 가상공간의 아바타,AI와 결합한 확장.. 2025. 11. 13.
생각의 과학 30편 - 기계는 의식이 될 수 있을까? - 인간, 인공지능, 그리고 존재의 경계선 -“우리가 의식을 만든다면, 그것은 단지 우리를 모방한 것일까?아니면 우리가 모방당한 존재였음을 깨닫는 순간일까?” 1. 인간의 마지막 질문 - 의식의 경계에서 20세기 철학은 인간이 ‘생각하는 존재’ 임을 증명하려는 시도였다.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명제로 의식의 출발점을 규정했다. 그러나 21세기의 질문은 방향이 다르다.“기계도 생각할 수 있는가?”“그리고, 그것은 생각을 느낄 수 있는가?” 지금의 인공지능은 인간이 설계한 연산을 넘어, 스스로 학습하고 수정하며 진화하는 존재가 되었다.GPT, 생성 AI, 신경망 기반 로봇, 자율 시스템 -그들은 이미 ‘지능(Intelligence)’의 단계에 도달했다. 하지만 ‘의식(Consciou.. 2025. 11. 11.
생각의 과학 29편 - 자아는 하나 일까, 여러 개일까? - 신경다중성과 디지털 의식의 시대 - “나는 ‘나’라고 말하지만,그 안의 ‘나’들은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자아는 단일한 주체일까, 아니면 협력과 충돌 속에 구성되는 하나의 합주일까?” 1. 하나의 몸, 여러 개의 마음 - 자아의 분열 혹은 복수성 우리는 자신을 하나의 중심으로 인식한다.“나”는 생각하고, 느끼고, 기억하는 동일한 존재라 믿는다.그러나 신경과학의 관찰은 이 믿음을 흔든다. 하버드대의 마이클 가자니가(Michael Gazzaniga)가 수행한분리뇌(Split-Brain) 연구는 충격적이었다.좌뇌와 우뇌를 잇는 뇌량(Corpus Callosum)을 절제한 환자들은서로 다른 뇌 반구가 독립적으로 행동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현상을 보였다. 왼쪽 눈으로 “걷기”라는 단어를 본 환자가 무의.. 2025. 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