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의 과학/B. 시간과 존재(time-existence)

생각의 과학 24편 - 시간은 흐르는가, 아니면 우리가 흐르는가?

by assetupproject 2025. 11. 10.

우리는 시간이 흐른다고 말한다.
하지만 실제로 흐르는 것은 시간일까, 아니면우리의 의식일까?
물리학과 철학, 그리고 뇌가 만들어내는 시간의 착각을 해부한다.”

우리가 믿는 ‘흐름’의 정체

 

1. 시간이라는 환상 - 우리가 믿는흐름의 정체

 

우리는시간속에 산다고 믿는다.
아침이 지나면 낮이 오고, 낮이 지나면 밤이 온다.
과거는 지나가고, 미래는 아직 오지 않았다.

 

그러나 이 익숙한 감각은 정말세계의 구조일까, 아니면의식의 해석일까?

 

현대물리학은 우리의 직관에 반기를 든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이후, 시간은 더 이상 절대적이지 않다.
속도가 빨라지거나 중력이 강해지면, 시간의 흐름은 달라진다.
, 시간은흐르는 리본이 아니라,
관점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 공간적 차원이다.

 

빛의 속도에 가까워질수록, 시간은 느려지고 결국 멈춘다.
빛 자체에게는과거도 미래도 없다.”
그저 모든 사건이 한꺼번에 존재할 뿐이다.

 

이것은 우리에게 낯선 충격을 준다.
우리가살아간다고 믿는 이 시간의 흐름이
사실은 의식이 만들어낸 환상적 내러티브라면 어떨까?

 

2. 블록 우주 - 모든 순간이 이미 존재하는 세계

 

상대성 이론의 연장선에서 나온 개념,
블록 우주(Block Universe)’는 이렇게 말한다.
우주는 거대한 4차원 구조이며, 모든 사건은 이미 그 안에 존재한다.

 

당신이 태어나는 순간,
처음으로 사랑을 느낀 순간,
그리고 마지막 숨을 내쉬는 그 순간까지 - 모두 하나의 고정된 시공간의 조각으로 존재한다.

 

우리가시간이 흐른다고 느끼는 것은,
의식이 그 고정된 시공간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이다.

마치 영화 필름이 이미 완성되어 있고,
프로젝터가 한 프레임씩 투사하는 것처럼.
필름 전체는 정지해 있지만,
우리 눈에는 인물이 움직이고, 사건이 전개되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는 움직이지 않는 우주를이동하며 경험하는 존재다.

 

물리학자 브라이언 그린(Brian Greene)은 말했다.

 

시간의 흐름은 우주가 아니라, 뇌가 만들어내는 내러티브다.
의식은 그 내러티브를 따라지속을 경험한다.”

 

, 우주에는 오직 존재만이 있고, 변화는 의식의 시선이 만들어낸 환상이다.

 

3. 뇌의 시간 - 신경과학이 말하는지각된 흐름

 

하지만 이 환상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왜 우리는현재라는 순간이흘러간다고 느낄까?

 

신경과학은 여기에 명확한 단서를 제공한다.
우리의 감각 정보는 실시간이 아니다.
시각 정보가 뇌에 도달하기까지는 약 0.1초의 지연이 있다.
청각, 촉각, 시각은 모두 서로 다른 속도로 처리된다.

 

그럼에도 우리는 세계를동시적으로 경험한다.
그 이유는 뇌가 끊임없이 미래를 예측(Prediction)하고,
들어오는 데이터를 지각적 일관성(Temporal Coherence)으로 재구성하기 때문이다.

 

뇌는현재를 만드는 시뮬레이션 기계다.
실제로는 불연속적인 사건들을 연속적인 이야기로 꿰어 맞추는 편집자이기도 하다.

 

, 우리가 느끼는시간의 흐름뇌의 연속성 알고리즘이 만들어낸 심리적 착시.

우리는 흐르는 시간을 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지각이 연결되어 있다는 감각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4. 철학 속의 시간 - 존재의 흐름인가, 인식의 흐름인가?

 

고대부터 철학자들은 이시간의 실재성을 의심해 왔다.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고백록』에서 이렇게 고백한다.

 

시간이 무엇인지는 안다고 생각하지만, 그것을 설명하려 하면 알 수 없게 된다.”

 

그는 시간의 본질을 외부 세계가 아니라 의식의 구조로 보았다.
과거는 기억 속에, 미래는 기대 속에, 현재는 주의 속에 존재한다.
, 시간은 세계의 속성이 아니라 의식이 세계를 경험하는 형식(Form of Experience)이다.

 

2천 년 뒤, 하이데거는 이 사유를 이어받았다.
그는존재는 시간 속에서 이해된다”라고 말하며, 시간을 인간 존재의 근원적 조건으로 규정했다.

우리는 시간을살아가는것이 아니라, 시간을 통해 자신을 이해하고 구성하는 존재.

시간은 외부에 있는 흐름이 아니라, 존재가 자기 자신을 경험하는 방식이다.

엔트로피와 시간의 방향성

 

5. 물리학의 반론 - 엔트로피와 시간의 화살

 

그럼에도 물리학은 이렇게 말한다.
시간은 단순한 착각이 아니다. 적어도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한, 시간은 방향을 갖는다.”

 

엔트로피(Entropy)는 무질서도의 척도다.
우주의 모든 과정은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깨진 유리는 다시 붙지 않고, 차가운 공기와 따뜻한 공기는 섞인다.

 

이 비가역성(Irreversibility)이 우리가 느끼는시간의 방향을 정의한다.

 

, 시간의 화살(Arrow of Time)은 열역학적 법칙에서 비롯된 물리적 현상이다.

 

그러나 흥미로운 점은 -
물리학의 기본 방정식은 시간이 대칭적이라는 사실이다.
미래와 과거는 그 식 안에서 똑같이 유효하다.

 

그렇다면 엔트로피의 방향은 어디에서 오는가?
일부 물리학자들은 이렇게 말한다.

 

시간의 화살은 우주 자체가 아니라, 의식이 비가역성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현상이다.”

 

, 우리가시간이 흐른다고 느끼는 것은
물리적 세계가 아니라, 의식이 엔트로피를 해석하는 방식이다.

 

6. 의식의 이동 - ‘현재라는 착각의 무대

 

그렇다면지금이란 무엇일까?
현재라는 개념은 너무도 자명하지만,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시간의 구간일 수 있다.

 

신경과학자 데이비드 이글먼(David Eagleman)
뇌가 감각 정보를 통합할 때 약 100밀리 초의 지각 윈도우(Window)를 사용한다고 밝혔다.
그 안에서 들어온 사건은 하나의지금으로 묶인다.

 

, 현재는 물리적 점이 아니라,
의식이 구성한 작은 시간 덩어리(Chunk of Perception).

 

이 지각의 묶음들이 연속되어 우리는흐름을 느낀다.

 

따라서현재란 우주적 실재가 아니라,
뇌가 만들어낸 지각의 무대이며,
그 무대 위에서 우리는살아있음을 연기한다.

 

7. 시간과 자아 - 변화 속의 동일성

 

시간은 자아의 본질과도 얽혀 있다.
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자신을 동일하다고 느낀다.
하지만 뇌과학적으로 우리의 신경망은 끊임없이 재구성된다.

 

그럼에도 우리는나는 어제의 나와 같다”라고 믿는다.
이 믿음은 단순한 기억의 연결이 아니라,
의식이 만들어낸 서사의 연속성(Narrative Continuity)이다.

 

, 자아란 기억의 축적이 아니라, 시간 속에서 의미를 엮어가는 이야기의 구조.

시간이 없다면, 자아는 그 이야기를 펼칠 수 없다.

우리는 시간을 사는 것이 아니라, 시간 위에 자신을 써 내려가는 존재다.

 

8. 시간의 새로운 얼굴 - 양자적 시간과 의식의 공진

 

양자중력 연구는 더 급진적인 질문을 던진다.
시간은 근본적으로 존재하는가?”

 

휠러-드윗 방정식(Wheeler-DeWitt Equation)
우주의 가장 근본적인 기술식이지만, 그 안에는시간이 없다.

 

, 우주는 무시간적(Timeless)이다.
시간은 단지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생겨나는 창발적(Emer­gent) 개념일 뿐이다.

 

이때 의식은
우주가 스스로를순차적으로 인식하는과정일 수 있다.

 

우리가 시간의 흐름을 느낀다는 것은,
사실 우주가 자신을 인식하며 생겨나는 진동이다.
의식과 시간은 서로를 반사하는 거울처럼 얽혀 있다.

 

의식은 시간의 거울이고, 시간은 의식의 그림자다.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흐르는 것은 ‘의식’이다.

 

결 론 -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흐르는 것은의식이다.

 

시간은 우주의 시계가 아니라, 의식의 언어이자 존재의 문법이다.

 

우리가시간이 흐른다고 말할 때, 사실은의식이 변화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과거와 미래의 구분은 우주의 법칙이 아니라
의식이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만든 해석의 틀이다.

 

시간은 존재의 본질이 아니라, 존재가 자신을 설명하기 위해 발명한 은유다.

 

그렇기에 죽음, 기억, 성장, 사랑 - 이 모든 인간적 경험은직선이 아니라,
의식이 자신을 반복적으로 재창조하는 순환적 서사.

 

우리는 시간을 건너 사는 것이 아니라,
시간 그 자체로 존재한다.

 

# 다음 편 예고 #

생각의 과학 25감정은 진화의 산물일까, 마음의 언어일까?
감정은 단순한 생존의 도구일까,
아니면 의식이 세계와 소통하기 위해 만든 정서적 코드일까?
진화생물학과 인지신경학이 만나는 지점에서
감정의 기원과 의미를 탐구한다.